검색엔진최적화 (SEO) 마케팅을 실행했지만, 결과가 나오지 않을 때, 마케터는 점점 초조해집니다. 뭔가 잘못하지는 않았을까? 하고 고민에 빠지기도 할 것입니다. 문제는 SEO 가 오랜 시간 투자가 필요하다는 데 있습니다. 독자들이 좋아할 만한 훌륭한 콘텐츠를 검색엔진의 구미에 맞게 최적화한 포스팅이라도 하루 이틀 내에 구글 검색 상위 랭크를 차지할 수는 없습니다.
이렇게 SEO 캠페인 실행 후에 답답한 마음을 가지고 계시다면, 트윈워드가 실제로 경험한 사례를 보면서 시간을 가져보시면 어떨까요? 트윈워드도 많은 시간이 걸렸지만, 결국 구글 검색 페이지에서 ‘synonym generator’ 키워드로 상위 랭크를 차지했기에 이 과정을 단계별로 자세히 설명드리고자 합니다.
1단계: 핵심 가치 고민하기
블로그 포스팅을 작성하기 이전에 결정해야 하는 것이 있습니다. 이 포스팅을 통해서 무엇을 전달하고자 하는지, 어떤 가치를 독자들에게 주고 싶은지 고민해 봐야 합니다. 진부한 팁이라고요? 하지만 경쟁자들로 가득찬 시장에서 조금이라도 앞서가기 위해서는 무엇에 대해 글을 써야 할지에 대해 사전에 꼭 생각해봐야 합니다.
트윈워드는 작년 3월 경, 온라인 글쓰기 플랫폼인 트윈워드 라이터를 알리기 위한 콘텐츠를 만들기로 결정했습니다. 트윈워드 라이터는 글쓰기를 위한 단어 확장 기능을 제공하는 에디터로, 사용자가 쓴 단어의 동의어, 유의어들을 자동으로(Automatic) 제안하여 전문적인 글쓰기를 가능하게 하는 도구입니다.
우리는 트윈워드 라이터가 사용자들에게 줄 수 있는 핵심적인 가치가 무엇인지에 대해 브레인스토밍을 하였고, 그 결과 ‘automatic’ 이라는 핵심 가치를 뽑게 되었습니다.
2단계: 주제 연구하기
글쓰기 도구를 검색 결과에서 상위에 노출하기 위해서 영어단어 스펠링 공부하기와 같은 관련 글을 포스팅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바로 글을 작성하기 보다는 현재 검색엔진에서 이런 주제와 관련하여 어떤 일들이 일어나고 있는지 찾아보는 단계가 꼭 필요합니다. 달리 말하자면, 핵심 가치와 관련한 어떤 궁금증을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지를 조사하는 주제 연구 단계입니다.
비슷한 주제로 포스팅된 글을 찾아보고 댓글에서 어떤 이야기가 나오는지 살펴보는 것도 좋은 아이디어입니다. 만약 작성하고자 하는 블로그 포스팅이 어떤 질문에 대한 해결책을 제안해주는 형식이라면 Quora 를 살펴볼 수도 있습니다.
Quora 와 같은 질의 응답 플랫폼에서 사람들이 어떤 주제에 대해 어떤 질문을 주로 하는지, 질문은 있는데 답변이 달리지 않은 주제는 어떤 것들인지 살펴보면 의외로 좋은 콘텐츠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습니다. 트윈워드는 언어처리기술(NLP, Natural Language Processing)을 가진 회사이고 트윈워드 라이터에 머신러닝이 적용되었기 때문에 위 질문 (What are good ways to automatically find synonyms us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s?) 에 대한 답변을 블로그 포스트로 해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3 단계: 키워드! 키워드!
이미 우리는 1, 2 단계를 거치면서 트윈워드 라이터의 핵심 가치는 ‘Automatic’ 이고 사람들은 “What are good ways to automatically find synonyms us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s?” 와 같은 궁금증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파악한 상태입니다. 이를 바탕으로 Automatic 및 synonym 과 관련된 단어를 찾기 위해 키워드 리서치를 실시하였습니다.
키워드 리서치 툴에 의하면 synonym generator는 월평균 1,300번의 검색량이 있고 automatic synonym은 그보다 적은 880번의 검색이 있었네요. 이제는 automatic synonym 뿐만 아니라 더 많은 사람들이 찾는 synonym generator도 타깃 키워드로 활용하기로 합니다.
이제 타겟 키워드가 정해졌다면 이젠 그 키워드를 이용해서 페이지의 제목, 메타디스크립션, Alt 태그 등을 최적화해야 합니다. 타겟 키워드 하나만 사용해서는 안되고 풍부한 LSI 키워드 (Latent Semantic Indexing Keyword)를 이용해서 그 키워드와 연관된 단어들을 다양하게 사용해야 합니다. 키워드 스터핑은 절대 해서는 안될 것입니다.
아울러 롱테일키워드도 중요한 요소입니다. 왜냐하면 롱테일키워드는 검색자의 의도를 구체적으로 반영하기 때문에 롱테일 키워드를 통해 여러분의 웹사이트에 접속하는 사람들은 일반적인 검색어를 사용한 사람들보다 여러분의 웹사이트에 더 오래 머물고 고객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훨씬 높기 때문입니다.
4 단계: 매력 넘치는 컨텐츠 만들기
이전 단계들 통해서 핵심 가치와 어떤 주제의 글을 쓸 것인지, 그리고 그 글에는 어떤 타깃 키워드를 담을 것인지를 결정했으므로, 이제는 블로그 포스트 작성을 시작합니다. 그 결과 핵심 가치와 키워드 리서치 결과물이 포함된 Online Automatic Synonym Generator Tool 이라는 제목의 포스트가 발행되었습니다. 그리고 이 블로그 포스트는 아래와 같이 상위 랭크를 달성하였습니다.
검색 상위 달성에는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이 포스팅이 상위 랭킹을 차지하게 된 배경에는 비디오 콘텐츠도 한 몫 했습니다. 블로그 포스팅에 미디어 자료들을 넣으면 독자들이 내용을 빠르게 이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구글 랭킹 포인트를 얻는 데에도 도움이 됩니다. 다양한 자료를 활용해서 여러분의 블로그 포스팅을 빛나게 만들어보세요.
5단계: 효과 확인하기
구글 상위 랭크를 차지한 블로그 포스팅을 등록한 날짜는 2016년 3월 31일 입니다. 같은 해, 한 달 후인 4월 말 구글 애널리틱스에서 해당 콘텐츠의 성과를 살펴보니 아래와 같은 결과를 볼 수 있었습니다.
이제 포스트 발행 후 4개월이 지난 8월 말 기준으로 결과를 살펴볼까요? 참고로 블로그 포스팅 이후, 어떤 수정도 이루어진 적이 없답니다. 페이지 뷰 기준으로 400 % 이상의 증가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증가 추세는 아래 그래프를 보면 더욱 확실하게 보입니다.
결론적으로 많은 기다림의 시간이 필요했지만, 전략적 키워드 리서치를 바탕으로 블로그 포스트를 발행함으로써 타깃 키워드에서 상위 노출을 하였고 마케팅 목적을 달성할 수 있었습니다.
구글 상위 랭크에 오르는 것은 분명히 쉽지는 않지만 그렇다고 불가능할 정도로 어려운 일도 아닙니다. 검색엔진의 알고리즘을 이해하고 키워드 리서치를 실시하여 타겟팅할 키워드를 찾아 좋은 콘텐츠를 만들어 낸 후, 인내심을 가지고 경과를 체크하다보면 여러분이 바라던 바가 이뤄질 수 있습니다. 검색엔진최적화 마케팅은 마케팅이 필요한 모든 기업에게 유효하지만, 특히 해외 시장을 타겟으로 마케팅하고자 하는 회사들에게 꼭 필요한 디지털 마케팅 기법입니다.
여러분도 회사 제품과 서비스를 표현해주는 전략 키워드를 찾아 콘텐츠를 만들어 보세요! 위에서 설명한 구글 검색 상위 랭크에 오르기 위한 5단계 전략과 함께 검색엔진최적화를 위한 가이드를 읽고 웹사이트에 적용한다면 머지 않아 검색엔진 상위랭크를 달성할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