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월 7일, 국내 시장조사업체 오픈서베이는 ‘소셜미디어와 검색 포털에 관한 리포트’에서 흥미로운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한국인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소셜 미디어는 전체의 27.8%를 차지한 유튜브 라는 것이었습니다. 이처럼 유튜브의 중요성을 무시할 수 없게 된 상황에서, 트윈워드는 유튜브 TOP 250채널을 분석하여 유튜브의 현 생태계를 알아보았습니다.
먼저 연령대 별, 성별 별 시청자 분석입니다. 아래 표를 보시면 유튜브 시청자들의 나이가 전체적으로 낮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정확히는 약 50%가 25세~44세에 분포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성별로는 남성시청자의 비율이 여성보다 높은 편입니다. 따라서 20~40대의 남성이 즐기는 콘텐츠가 유튜브의 생태계와 가장 적합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언어권 별 분석입니다. 유튜브가 국제적 플랫폼인 만큼 콘텐츠의 언어도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할 전략으로 대두하였습니다. 트윈워드가 TOP 250 유튜브 채널의 주사용 언어를 분석해 본 결과 예상했던 바와 같이 영어가 66%를 차지하였고, 남미 및 스페인/포르투갈이 포함된 라틴계 채널이 22%를 차지하였습니다.
이를 보았을 때 유튜브의 국제적인 성격을 활용하여 사용자들을 공략하려면 영어를 1순위, 2순위로 스페인어/포르투갈을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특이한 것은 한국어 채널도 TOP 250중 6개, 즉 2%정도를 차지하고 있어 언어권 인구보다 시청자가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다음, 유튜브에서 가장 인기 있는 콘텐츠들을 카테고리 별로 나누어 보았습니다. 더 자세한 통계는 (https://www.blogkens.com/blog/youtube-video-statistics-infographic/ )에서 볼 수 있습니다.
위 그래프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유튜브에서 가장 인기 있는 컨텐츠 종류는 엔터테인먼트, 음악 및 브이로그 콘텐츠 입니다. ‘엔터테인먼트’ 카테고리 에는 다수의 미국 방송사 소속 토크쇼 및 개별 유튜브 제작자(Shane Dawson, Jake Paul 등)과 같이 예능으로 분류될 수 있는 채널들이 포함됩니다.
그 다음으로 인기 있는 음악 카테고리 역시 개별적인 음악가들과 음반회사들의 대형 채널들이 포함되는 채널입니다. 이처럼 자신의 콘텐츠가 속한 카테고리의 특성과 규모에 따라 전략을 결정할 수 있을 것입니다.
위 표는 카테고리 별 수요와 공급을 조사한 것입니다. 주목할 만한 것은 Entertainment와 Music이 가장 인기 있는 콘텐츠이고 수요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공급이 수요에 미치지 못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People 카테고리 같은 경우에는 카테고리의 인기가 높긴 하지만 그에 비해 브이로그 등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동영상의 수가 이미 수요보다 많아 경쟁이 매우 높을 것을 예상 할 수 있습니다.
토픽은 사용자가 지정할 수 있는 카테고리 와는 다르게 유튜브에서 자동으로 생성되는 채널로, 주제의 인기도를 자동으로 파악하여 생성됩니다. 토픽 채널의 구독자 수를 통해 인기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평균 조회 수를 통해 경쟁 정도를 예측할 수 있어 유의미한 자료입니다.
예를 들어, life style은 구독자 수가 많은 편에 속하여 인기가 많은 토픽이지만 평균 조회 수가 상당히 높아 경쟁자 수가 많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TOP 250 유튜브 채널의 구독자 수 분포를 트윈워드가 분석해 본 자료입니다. 아래 표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가장 중요한 점은 유튜브 채널의 구독자 분포가 롱테일의 특성을 보인다는 것입니다. 아주 극소수의 유튜브 채널이 헤드 역할을 하며 100,000,000명에 육박하는 구독자 수를 보유하고 있고, 이 후로는 테일의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많은 수의 대중에게 공통적으로 어필할 만한 콘텐츠를 만들던 전통적인 대중 매체와 다르게 원하는 콘텐츠를 원하는 시간에 시청할 수 있는 on-demand 방식의 미디어 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채널 구상 시 이전과는 달리 구체적인 타겟 시청자를 정해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하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트윈워드 에서는 위의 자료들을 토대로 인기 있는 유튜브 채널의 특성들을 도출해 보았습니다. 정리하자면, 인기가 좋을 전망이 있는 채널들은 다음과 같은 특성이 있습니다.
이렇듯 인기 채널들의 이러한 특성들을 염두에 두고 채널의 전략을 세우고 기획을 한다면, 최적화된 결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입니다.
유튜브 최적화에 대해서 더 알아보려면, 트윈워드가 출판한 ‘트래픽을 쓸어 담는 검색엔진 최적화‘를 읽어 보세요. 328여 페이지에 달하는 이 책에서는 검색엔진 최적화의 최신 알고리즘부터 실무에 활용할 수 있는 체크리스트까지 상세하게 설명합니다.
5 Comments
어떤 언어가 중요한지 도움되네요. 감사해요.
도움이 되었다니 다행이네요. 감사합니다.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